목록이론 (33)
오봉이와 함께하는 개발 블로그

TCP & UDP 인터넷 프로토콜 스택의 4계층이 있다. 애플리케이션 계층 - HTTP, FTP 전송 계층 - TCP, UDP 인터넷 계층 - IP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 프로토콜 계층 해당 사진에서 Ethernet Frame에는 MAC Address 등 물리적인 정보가 들어있다. TCP/IP 패킷 정보 TCP 특징(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전송 제어 프로토콜) 연결 지향적이다. 연결이 되었는지, 안 되었는지를 확인한다. TCP 3 way handshake(가상 연결) 데이터 전달 보증 패킷이 누락되면 알 수 있다. 순서 보장 신뢰할 수 있는 프로토콜 현재는 대부분 TCP를 사용한다. TCP 3 way handshake 해당 과정들을 통해 클라이언트도, 서버도 서로를 믿을 ..

인터넷 통신 컴퓨터는 통신을 할 때 원하는 정보를 원하는 컴퓨터에 전송하기 위해 인터넷에서 수 많은 노드들을 거쳐간다. 이를 위해 어떻게 원하는 목적지로 안전하게 전달해야 할까? IP(인터넷 프로토콜) 복잡한 인터넷에서 원하는 곳으로 정보를 정확하게 전송하기 최소한의 규칙이 있어야 한다. 어느 곳으로 정보를 보낼지 명시하기 위해 IP 주소라는 것을 통해 지정할 수 있다. 역할 지정한 IP 주소(IP Address)에 데이터를 전달한다. 패킷(Packet)이라는 통신 단위로 데이터를 전달한다. IP 패킷 정보 클라이언트 패킷 전달 패킷을 인터넷 망에 전송하면 규약에 따라 여러 노드들을 거쳐서 원하는 곳에 도착한다. 서버 패킷 전달 반대쪽 입장도 클아이언트 패킷 전달과 마찬가지로 이동하게 된다. 단, 클라이..
좋은 객체지향 설계의 5가지 원칙 (SOLID) SRP : 단일 책임 원칙(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 OCP : 개방-폐쇄 원칙 (Open/closed principle) LSP : 리스코프 치환 원칙 (Liskov substitution principle) ISP : 인터페이스 분리 원칙 (Interface segregation principle) DIP : 의존관계 역전 원칙 (Dependency inversion principle) SRP 단일 책임 원칙 (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 한 클래스는 하나의 책임만 가져야 한다. 하나의 책임이라는 것은 모호하다. 클 수 있고, 작을 수도 있고 문맥과 상황에 따라 다르다. 변경이 있을 때 파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