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봉이와 함께하는 개발 블로그
HTTP - 인터넷 통신, IP(인터넷 프로토콜) 본문
728x90
인터넷 통신
컴퓨터는 통신을 할 때 원하는 정보를 원하는 컴퓨터에 전송하기 위해 인터넷에서 수 많은 노드들을 거쳐간다.
이를 위해 어떻게 원하는 목적지로 안전하게 전달해야 할까?
IP(인터넷 프로토콜)
복잡한 인터넷에서 원하는 곳으로 정보를 정확하게 전송하기 최소한의 규칙이 있어야 한다.
어느 곳으로 정보를 보낼지 명시하기 위해 IP 주소라는 것을 통해 지정할 수 있다.
역할
- 지정한 IP 주소(IP Address)에 데이터를 전달한다.
- 패킷(Packet)이라는 통신 단위로 데이터를 전달한다.
IP 패킷 정보
클라이언트 패킷 전달
패킷을 인터넷 망에 전송하면 규약에 따라 여러 노드들을 거쳐서 원하는 곳에 도착한다.
서버 패킷 전달
반대쪽 입장도 클아이언트 패킷 전달과 마찬가지로 이동하게 된다.
단, 클라이언트가 거쳐왔던 노드들과, 서버가 거쳐갈 노드들이 다를 수 있다.
한계
- 비연결성
- 패킷을 받을 대상이 없거나 서비스 불능 상태여도 패킷 전송
- 비신뢰성
- 중간에 패킷이 사라진다면?
- 패킷이 순서대로 오지 않는다면?
- 프로그램 구분
- 같은 IP를 사용하는 서버에서 통신하는 애플리케이션이 둘 이상이면?
인프런 김영한 지식 공유자님의 강의 - 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
728x90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TP - 비 연결성, HTTP 메시지 (0) | 2022.08.02 |
---|---|
HTTP - HTTP 범위, 클라이언트-서버 구조, Stateful&Stateless (0) | 2022.08.01 |
HTTP - URI, 웹 브라우저 요청 흐름 (0) | 2022.07.31 |
HTTP - TCP&UDP, PORT, DNS (0) | 2022.07.30 |
이론 - 좋은 객체지향 설계 5가지 원칙(SOLID) (0) | 2022.05.27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