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BE (354)
오봉이와 함께하는 개발 블로그
인터페이스 InitializingBean, DisposableBean 코드를 바로 보자 코드 InitializingBean은 afterPropertiesSet() 메소드로 초기화를 지원한다. DisposableBean은 destroy() 메소드로 소멸을 지원한다. public class NetworkClient implements InitializingBean, DisposableBean { private String url; public NetworkClient() { System.out.println("생성자 호출, url = " + url); } public void setUrl(String url) { this.url = url; } // 서비스 시작시 호출 public void connect()..
빈 생명주기 콜백 시작 DB 커넥션 풀이나, 네트워크 소켓처럼 앱의 시작 시점에 필요한 연결을 미리 해두고, 종료 시점에 연결을 모두 종료하는 작업을 하려면 객체 초기화와 종료 작업이 필요하다. 예제 실제로 네트워크에 연결하진 않지만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객체를 하나 생성한다 가정하자. NetworkClient는 시작할 때 connect()를 호출해서 연결해야 하고, 종료할 때 disconnect()를 호출해서 연결을 종료해야 한다. public class BeanLifeCycleTest { @Test public void lifeCycleTest() { ConfigurableApplicationContext ac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LifeCyc..
조회한 빈이 모두 필요할 때, List, Map 해당 타입의 스프링 빈이 다 필요한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할인 서비스를 제공할 때 회원이 정액 할인을 할지, 정률 할인을 할지 종류를 선택하는 경우가 있다고 가정하면, 개발자는 회원이 선택할 수 있도록 선택권을 줘야한다. 스프링을 사용하면 소위 전략 패턴이라 하는 것을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다. 코드 package hello.core.autowired; import hello.core.AutoAppConfig; import hello.core.discount.DiscountPolicy; import hello.core.member.Grade; import hello.core.member.Member; import org.assertj.core.api.A..
@Autowired 필드 명, @Qualifier, @Primary 조회 대상 빈이 2개 이상일 때 해결 방법으로 세 가지가 있다. @Autowired 필드명 매칭 @Qualifier -> @Qualifier 끼리 매칭 -> 빈 이름 매칭 @Primary 사용 @Autowired 필드명 매칭 @Autowired는 타입 매칭을 시도하고, 이때 여러 빈이 있으면 필드 이름, 파라미터 이름으로 빈 이름을 추가 매칭한다. 기존 @Autowired private 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필드명을 빈 이름으로 변경 @Component public class OrderServiceImpl implements OrderService{ private final MemberRepository ..
롬복과 최신 트랜드 막상 개발하면 대부분 불변이고, 생성자에 final 키워드를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막상 의존관계 주입을 자동으로 할 때 생성자 주입을 하면 생성자도 만들어야 하고, 주입 받은 값을 대입하는 코드도 만들어야 해서 코드가 너무 많아진다. 그래서 등장한게 롬복이다. 롬복 적용 방법 build.gradle에 라이브러리 및 환경 설정 추가 plugins { id 'org.springframework.boot' version '2.7.0' id 'io.spring.dependency-management' version '1.0.11.RELEASE' id 'java' } group = 'hello' versio..